맨위로가기

이슬아 (바둑 기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슬아는 대한민국의 은퇴한 바둑 기사이다. 전라남도 여수 출신으로, 2007년 여류내신 입단대회를 통해 프로 기사가 되었다. 같은 해 정관장배 세계 여자 바둑 최강전에서 한국 대표로 출전하여 2연승을 거두며 우승에 기여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여자 단체전과 혼성 페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2관왕을 달성하여 3단으로 승단했고 바둑대상 여류 기사상을 수상했다. 2019년 중국 바둑 기사 뤄더룽과 결혼하며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초당초등학교 동문 - 윤현민
    윤현민은 2005년 한화 이글스 야구 선수로 데뷔 후 2007년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으로 데뷔하며 배우로 전향하여 드라마, 영화, 뮤지컬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서울초당초등학교 동문 - 기리보이
    기리보이는 2011년 데뷔 후 《쇼미더머니 3》 출연으로 인지도를 얻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 심사위원 참여와 스탠다드프렌즈 계약을 통해 활발히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래퍼이자 프로듀서이다.
  • 세명컴퓨터고등학교 동문 - 김미리
    김미리는 2008년 프로에 입단하여 한국바둑리그에 출전하고 여자 프로 국수전 준결승 진출, 여류명인전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사이버오로에서 바둑 강사로 활동하며 SG배 페어바둑대회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세명컴퓨터고등학교 동문 - 원종덕
    원종덕은 대한민국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선수 시절 안양 LG 치타스에서 골키퍼로 활약하며 K리그 우승, 준우승, 리그컵 우승,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준우승을 경험했고, 은퇴 후 FC 서울에서 골키퍼 코치를 맡아 유소년 육성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팀으로, 2004년 IIHF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했으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남북 단일팀으로 참가하여 8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의 국가대표팀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슬아 (바둑 기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슬아
이슬아 (2017년)
이름이슬아
출생일1991년 11월 20일 (32세)
출생지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
국적대한민국
사범허장회
소속한국기원
프로 입단2007년
은퇴2019년
5단
수상 내역
금메달
금메달
2010년 아시안 게임단체, 혼성 페어

2. 약력

전라남도 여수시 출신으로, 초등학교 3학년 때 아버지의 권유로 바둑에 입문하여 허장회 바둑도장에서 수학했다. 서울초당초등학교, 충암중학교, 세명컴퓨터고등학교를 졸업했다.

2007년 여자 연구생 내신 제도를 통해 프로에 입단(초단)하였고, 같은 해 제6회 정관장배 세계 여자 바둑 최강전에 한국 대표로 출전하여 2연승을 거두며 팀 우승에 기여했다. 2010년 제16회 광저우 아시안 게임 바둑 종목에서 혼성 페어전(박정환과 조)과 여자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2관왕에 올랐다. 이 성과로 3단으로 특별 승단했으며, 바둑대상 여류기사상을 수상하고 국민체육진흥공단으로부터 종신 연금을 받게 되었다.

이후 KBS 바둑왕전 본선 진출(2011년, 2015년), 한국바둑리그 활동(2012년), 황룡사쌍등배 한국 대표 출전(2014년), 지지옥션배 여류 대 시니어 연승 대항전 5연승(2015년, 팀 우승 견인), 한국여자바둑리그 여수 거북선 팀 주장(2016년) 등으로 꾸준히 활동했다. 2015년 4단, 2018년 7월 5단으로 승단했다.

2019년 5월, 중국의 바둑 기사 뤄더룽 4단과 결혼하면서 프로 기사직에서 은퇴했다.[2]

2. 1. 입문 및 프로 활동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3학년 때 아버지의 권유로 바둑에 입문했다. 처음에는 김세실 프로기사의 아버지인 김봉석이 운영하는 바둑학원에서 바둑을 배웠고, 2년 후 가족과 함께 서울로 이주하여 프로기사 양성 전문 도장인 허장회 바둑도장에서 수학했다. 서울초당초등학교, 충암중학교, 세명컴퓨터고등학교를 졸업했다.

2007년 여자 연구생 내신 점수를 통해 프로에 입단(초단)하였다. 같은 해 제6회 정관장배 세계 여자 바둑 최강전에 한국 대표로 출전하여 2연승을 거두며 한국의 우승에 기여했다. 2008년에는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즈 여자 개인전에 출전하여 예선 리그 3위를 기록했고, 프로 여류 국수전 본선 16강에 진출했다. 2009년에는 여류 명인전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으나 조혜연에게 패배했고, 프로 여류 국수전 본선 8강에 올랐다.

2010년은 이슬아에게 최고의 해였다. 제16회 광저우 아시안 게임 바둑 종목에서 박정환과 함께 출전한 혼성 페어전과 여자 단체전에서 모두 금메달을 획득하며 2관왕에 올랐다. 이 공로로 특별 승단 규정에 따라 2단에서 3단으로 승단했으며, 바둑대상 여류기사상을 수상하고 국민체육진흥공단으로부터 종신 연금을 받게 되었다. 같은 해 GG옥션배에서 3연승을 기록했고, 궁륭산 병성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 본선 8강에 진출했다.

2011년에는 제30기 KBS 바둑왕전 본선 시드를 받아 출전했다. 2012년에는 한국바둑리그의 인터리그와 락스타리그 SK팀 소속 선수로 활동했다. 2014년에는 제4회 황룡사쌍등배 세계여자바둑대회에 한국 대표로 출전했으며,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한국바둑고등학교에서 산업체 우수강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5년에는 4단으로 승단했고, 제34기 KBS바둑왕전 본선에 다시 진출했다. 또한 제9기 지지옥션배 여류 대 시니어 연승 대항전에서 여류팀 대표로 출전하여 5연승을 거두며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2016년에는 한국여자바둑리그에 새로 창단된 여수 거북선 팀의 주장으로 활동했으며, 꽃보다 바둑 여왕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프로 여류 국수전 본선 4강에 올랐다.

2017년에도 한국여자바둑리그에 출전했으며, 특히 제5국에서는 삭발을 하고 대국에 임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1] 같은 해 제22기 여류국수전 본선에 진출했다. 2018년 7월, 5단으로 승단했다.

2019년 5월, 중국의 바둑 기사 뤄더룽 4단과 결혼하면서 프로 기사직에서 은퇴했다.[2]

2. 2. 아시안 게임 금메달 및 전성기

2010년 2010년 아시안 게임 바둑 종목에서 여자 단체전과 혼성 페어전(박정환과 조)에서 금메달 2개를 획득하며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이 성과로 2단에서 3단으로 특별 승단했으며, 바둑대상에서 여류 기사상을 수상했다. 또한 국민체육진흥공단으로부터 종신 연금을 받게 되었다.[2] 같은 해 지지옥션배에서 3연승을 기록했고, 궁륭산 병성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는 8강에 올랐다.

이후에도 꾸준히 활약했다. 2011년에는 KBS 바둑왕전 본선 시드를 받았고, 2012년에는 한국바둑리그와 락스타 리그에 출전했다. 2014년에는 제4회 황룡사쌍등배 세계여자바둑대회 한국 대표로 참가했으며, 전라남도 순천에 소재한 한국바둑고등학교에서 산업체 우수강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5년에는 KBS 바둑왕전 본선에 다시 진출했으며, 제9기 지지옥션배 여류 대 시니어 연승 대항전에서는 여류 대표로 출전하여 5연승을 거두며 팀 우승을 이끌었다. 같은 해 4단으로 승단했다.

2016년에는 한국여자바둑리그 여수 거북선 팀의 주장을 맡았고, 꽃보다 바둑 여왕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여류국수전 4강에 진출했다. 2017년에도 한국여자바둑리그에 출전했으며, 제5국에서는 삭발을 하고 등장하여 주목을 받았다.[1] 또한 제22기 여류국수전 본선에 진출했다. 2018년 7월에는 5단으로 승단했다.

2. 3. 은퇴

2018년 7월, 5단으로 승단했다. 이후 2019년 5월, 중국 바둑 기사 뤄더룽과의 결혼과 함께 프로 바둑 기사에서 은퇴했다.[2]

3. 주요 기전 성적

이슬아는 2007년 프로 입단 직후 정관장배 세계 여자 바둑 최강전에서 2연승을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이후 프로 여류 국수전, 여류 명인전 등 국내 기전 본선에 꾸준히 진출하며 경험을 쌓았다.

특히 2010년은 최고의 해로 기록된다.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여자 단체전과 혼성 페어전(박정환과 페어) 2관왕을 달성하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 활약으로 3단 특별 승단과 함께 바둑대상 여류기사상을 수상했고,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체육 연금 수혜자가 되었다. 같은 해 GG옥션배 여류 대 시니어 연승 대항전 3연승, 궁륭산 병성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 8강 진출 등 국내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에도 KBS 바둑왕전 본선 진출(2011년, 2015년), GG옥션배 여류 대 시니어 연승 대항전 5연승으로 팀 우승 견인(2015년) 등 꾸준한 활약을 보였다. 2015년 4단으로 승단했으며, 2016년부터는 한국 여자 바둑 리그 여수 거북선 팀 주장으로 활동했다. 2016년 꽃보다 바둑 여왕전 준우승, 프로 여류 국수전 4강에 오르기도 했다. 2017년 여자 바둑 리그 경기 중 삭발 투혼을 보여주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1]

2018년 7월 5단으로 승단했고, 2019년 5월 중국 바둑 기사 뤄더룽과의 결혼과 함께 프로 기사 생활을 마감했다.[2]

3. 1. 국제 기전


  • 아시안 게임 2010년 남녀 페어전, 여자 단체전 우승
  • 궁륭산 병성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 베스트 8, 2007년 (○왕천싱, ×탕이)
  • 정관장배 세계 여자 바둑 최강전
  • * 2007년 2-1 (○우메자와 유카리, ○왕반, ×아오키 키쿠요)
  • 황룡사 쌍등배 세계 여자 바둑 승강 쟁탈전
  • * 2012년 0-1 (×왕천싱)
  • * 2014년 0-1 (×쑹룽후이)

3. 2. 국내 기전

2007년 여류내신 입단대회를 통해 프로에 입문했다. 2008년 프로 여류 국수전에서 16강에 진출했으며, 2009년에는 여류 명인전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으나 조혜연에게 패배했고, 프로 여류 국수전에서는 8강에 올랐다.

2011년과 2015년에는 KBS 바둑왕전 본선에 진출했다. 2016년에는 꽃보다 바둑 여왕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프로 여류 국수전 4강에 진출했다. 2017년에는 제22기 여류국수전 본선에 진출했다.

주요 국내 기전 성적은 다음과 같다.

'''GG옥션배 여류 대 시니어 연승 대항전'''

연도성적대국 결과
20080승 1패× 차민수
20090승 1패× 안관욱
20103승 1패서봉수, ○ 백성호, ○ 김수장, × 안관욱
20110승 1패× 조훈현
20120승 1패× 황원준
20155승 1패○ 이홍렬, ○ 강훈, ○ 김종수, ○ 서능욱, ○ 최규병, × 서봉수 (여류팀 우승 견인)



'''한국 바둑 리그'''

연도소속팀정규 리그락스타 리그비고
2012SK에너지0승 1패2승 16패인터리그 및 락스타리그 출전



'''한국 여자 바둑 리그'''

연도소속팀성적비고
2016여수 거북선5승 8패주장 활동
2017여수 거북선7승 6패제5국에서 삭발하고 등장[1]
2018여수 거북선-


참조

[1] 뉴스 中央日報 http://news.joins.co[...] 2017-03-16
[2] 뉴스 이슬아 5단, 12년 프로생활 접고 은퇴 http://www.hani.co.k[...] 한겨레 2019-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